ESG 트렌드에 맞춘 지속가능한 어드벤처 공간 설계
지속가능성 없는 어드벤처 공간은 미래가 없다최근 몇 년 사이, ‘어드벤처 공간’은 단순한 놀이와 스포츠를 넘어문화, 교육, 복지, 치유, 커뮤니티 활성화까지 다양한 목적으로 확장되고 있다.기존의 ‘놀이터’와는 차원이 다른 몰입형 공간 설계,그리고 지역사회와 연결된 복합 체험 콘텐츠가 급부상하고 있다.그런데 이러한 흐름과 동시에, 전 세계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모든 산업에 깊게 침투하고 있다.특히 체험 공간과 놀이시설도 단순한 설치가 아니라,지속가능한 운영, 자원 순환형 구조물 사용, 지역사회 환원 모델을 갖추는 것이더 이상 선택이 아닌, 공공 입찰·지자체 협력·기업 CSR(사회적 책임) 연계의 필수 조건으로 자리 잡고 있다.하지만 아직도 국내 어드벤처 시설 기획자나 설계자, 그리고 창..
2025. 7. 2.
유럽 어드벤처 파크 디자인 한국 적용법
유럽형 어드벤처 파크가 주는 영감과 한계유럽은 어드벤처 파크 디자인에 있어서 가장 선도적인 대륙 중 하나다.독일, 오스트리아, 프랑스, 스위스 등에서는 1980년대부터 숲을 활용한 자연친화형 어드벤처 시설이 발전했고,‘모험을 통한 성장’이라는 가치 아래 수많은 체험공간이 공공 인프라로 제공되었다.특히 로프 파크, 고공 네트 체험장, 숲 속 짚라인, 트리탑 워킹,그리고 인문학적 콘텐츠가 결합된 체험 미션 등은기존의 단순 놀이시설과 차별화된, ‘교육형+야외형+지속가능성 기반’ 어드벤처 공간 모델로 발전하고 있다.하지만 한국의 실정은 다르다.기후, 도시 밀도, 법제도, 체험 문화, 안전기준, 땅값 등수많은 제약 조건 속에서 유럽형 모델을 단순 도입하기란 쉽지 않다.게다가 유럽형 어드벤처 파크는 ‘비상업적 체험..
2025.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