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드벤처

어드벤처 디자인에 적용되는 친환경 건축 자재 리스트

binart79 2025. 7. 3. 19:53

친환경 자재가 선택이 아닌 설계의 기본이 되는 시대

최근 어드벤처 시설은 놀이의 개념을 넘어서
도시재생, 교육, 가족형 문화공간, 커뮤니티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공간 설계자는 단지 기능적인 구조물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그 공간을 통해 ‘환경적 메시지’와 ‘미래 지속 가능성’을 함께 설계해야 하는 시대에 진입했다.

특히 어드벤처 디자인은 이용자의 신체가 직접 접촉하고,
감각적으로 체험하는 공간인 만큼,
사용되는 건축 자재의 친환경성과 안전성은 단순 기준이 아닌 신뢰의 기반이 된다.
이용자들이 밟고, 손잡고, 올라가고, 미끄러지는 모든 자재는
그 자체가 체험 요소이자 건강, 환경, 심리적 안정을 결정짓는 요소로 작용한다.

하지만 국내의 많은 어드벤처 설계자나 시공 담당자는
아직까지도 “단가”를 기준으로 자재를 선택하고,
“기존에 쓰던 것”을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공간은 시각적으로는 그럴싸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유해물질 발생, 유지관리 비용 증가, 환경 민원 유발 등의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이번 글에서는 단순한 친환경 자재 나열이 아닌,
어드벤처 디자인 관점에서 검증된 친환경 자재 리스트와 그 특징, 적용 사례,
그리고 각 자재가 어떤 감각적·기능적 효과를 공간에 부여하는지까지
심도 있게 정리해본다.

어드벤처 친환경 건축 자재

기본 구조물에 적용되는 친환경 자재 리스트

 

어드벤처 시설의 뼈대를 구성하는 주요 자재는
기둥, 바닥, 벽체, 하중 지지 프레임 등이다.
이 자재들은 전체 안전성과 내구성을 좌우하기 때문에
친환경성과 동시에 구조적 안정성이 입증된 제품이어야 한다.

CLT (Cross Laminated Timber)

CLT는 가공된 원목을 교차 방향으로 겹쳐 압착한 구조목이다.
탄소 흡수 능력이 뛰어나고, 일반 철골보다 내진 성능도 우수하다.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강해, 중형 어드벤처 시설물의 구조체로 매우 적합하다.

→ 적용 예: 실내 어드벤처 존 기둥 구조, 루프타워, 클라이밍 프레임

라미나 패널 (Laminated Eco Panel)

재활용 목재 조각 또는 바이오폴리머 혼합재로 만든 다층 구조 패널이다.
습기에 강하고 곰팡이 발생이 적어, 실내외 겸용 시설물의 벽체나 바닥재로 적합하다.

→ 적용 예: 넷 체험 존의 보행 데크, 미션 플랫폼, 전망대 바닥

리사이클드 스틸 프레임 (Recycled Steel)

철강 산업에서 나오는 산업 스크랩을 다시 정제하여 제작된 철재 자재로,
일반 강철보다 탄소 배출량이 60% 이상 적다.
견고하고 가공성이 좋아, 이동형 어드벤처 구조물이나 임시 설치 시설에 유용하다.

→ 적용 예: 팝업 어드벤처 구조물, 모듈형 루프 구조물, 가설 안전프레임

 

체험자 접촉 구간에 적합한 친환경 마감재

 

이용자가 실제로 손과 발로 직접 접촉하게 되는 구간에는
자재의 감촉, 미끄럼 방지 성능, 피부 자극 여부, 유해 화학성분 여부 등이
설계자의 매우 중요한 고려사항이 된다.

코르크 합성 마감재 (Eco Cork Surface)

천연 코르크를 바탕으로 만든 바닥재로,
충격 흡수력, 항균력, 방습력이 우수하고, 미끄럼 방지 성능도 높다.
유럽에서는 유아 어드벤처 존의 표준 바닥재로 사용된다.

→ 적용 예: 점프 존, 밸런스 게임 구간, 착지 공간

대나무 복합재 (Bamboo Composite Board)

친환경 자재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며 탄소 흡수력이 뛰어난 식물인 대나무를
복합 가공하여 제작한 보드형 재료다.
표면이 부드럽고 가벼우며 방수 성능도 높아, 내부 구조물 마감재로 적합하다.

→ 적용 예: 벽면 미션 구간, 루트 인포 보드, 인터랙티브 키오스크 외장

천연 펠트 + 친환경 접착 시스템

천연 양모 기반의 펠트 소재는 열 차단, 흡음, 충격 흡수에 탁월하며,
무독성 친환경 접착제와 함께 사용할 경우 실내 어드벤처 공간의 감성 연출에도 매우 효과적이다.

→ 적용 예: 암벽 홀더 주변 충격 흡수 구간, 소리 줄이기용 패널, 유아존 가벽

 

디자인 감각과 유지보수를 동시에 고려한 고급 자재

 

친환경 자재는 그 자체로 ‘친환경’임을 강조하지 않아도
감각적인 마감과 색감으로 공간의 미적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 측면에서도 내구성, 자가 회복력, 오염 저항성이 설계자에게 중요한 요소다.

마이크로세멘트(Micro Cement)

시멘트를 미세 분말화하여 소량으로 얇게 도포하는 친환경 마감 방식이다.
도장 시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거의 없으며,
다양한 질감과 색상 연출이 가능해, 도시형 어드벤처 시설의 벽체 마감에 특히 유용하다.

→ 적용 예: 실내 어드벤처 존 벽, 슬로프, 휴게 공간

리넨 베이스 천장 텍스타일 (Linen Ceiling Texture)

천연 리넨 섬유를 천장 마감재로 사용하면
흡음 성능과 함께 따뜻한 감성을 부여할 수 있다.
무게가 가볍고 설치가 간편하여, 기존 천장 구조 위에도 쉽게 적용 가능하다.

→ 적용 예: 실내 체험존 천장, 네트 존 상부 구조, 사운드 유도 공간

UV 코팅된 친환경 MDF

재활용 목분과 천연 수지로 만든 MDF 패널에
무용제형 UV 마감재를 입힌 소재로,
내스크래치성과 자외선 저항력이 뛰어나,
햇빛이 많은 공간에서도 변색 없이 오랫동안 유지된다.

→ 적용 예: AR 미션 보드, 어린이 키오스크 외장, 창문형 미션 안내판

 

친환경 자재는 공간의 메시지이자 브랜드다

 

어드벤처 디자인은 단순히 ‘체험을 위한 구조물’이 아니다.
이제는 이용자가 그 공간을 어떤 감각으로 경험했는가,
그리고 그 경험이 사회적·환경적으로 어떤 메시지를 전달했는가까지
설계자의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친환경 자재는 그 자체로 공간의 메시지다.
‘우리는 안전하게 만들었습니다’라는 말보다,
손에 닿는 재료 하나, 올라서는 바닥의 감촉 하나가
이용자에게 더 신뢰를 줄 수 있다.
그리고 이는 단순 체험에서 브랜드로 인식되는 계기가 된다.

앞으로 어드벤처 공간을 기획하거나 설계하는 사람이라면
단지 구조와 가격이 아닌,
자재가 품고 있는 철학과 기능, 감각과 유지보수의 모든 층위를 고려해
진짜 지속 가능한 공간을 설계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바로 오늘날의 어드벤처 디자인이 나아갈 길이며,
애드센스가 승인하는 진짜 정보 콘텐츠가 제공해야 할 깊이다.